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 창녕군, 경상남도

주소: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술정리 119-3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전화번호: 555301473.

전문 분야: 탑.
기타 관심사항: 휠체어 이용가능 주차장, 화장실.
리뷰: 이 회사는 Google My Business에서 30개의 리뷰를 가지고 있습니다.
평균 의견: 4.3/5.

📌 의 위치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소개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술정리 119-3에 위치한 역사적인 유적지입니다. 이 삼층석탑은 9세기 말부터 10세기 초에 지어졌고, 창녕군의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이 탑은 3층의 탑신을 가진 삼층석탑의 예로서, 고려시대의 건축 양식을 보여줍니다.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은 그 역사와 아름다움으로 많은 사람들이 방문합니다. 이 유적지는 휠체어 이용가능한 주차장과 화장실을 제공하여 접근성을 높였습니다. 또한, 이 지역은 음식점, 숙박시설 등 다양한 편의 시설이 있어 관광객들에게 편리한 장소입니다.

이 탑에 대한 리뷰는 Google My Business에서 30개가 있으며, 평균 평점은 4.3/5로 매우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많은 방문자들이 이 삼층석탑의 아름다움과 역사적 가치를 극찬하고 있습니다.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방문 팁

  • 탑 주변을 차분히 산책하며 역사와 문화를 탐구해보세요.
  • 음식점이나 카페에서 지역 특산물로 만든 음식을 즐겨보세요.
  • 관리인이 제공하는 역사적 배경과 유적지에 대한 설명을 들어보세요.

👍 의 리뷰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 창녕군, 경상남도
Joey J.
5/5

명 칭 :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昌寧 述亭里 東 三層石塔)
국보번호 : 034번(국보번호 폐지전)
위 치 : 경남 창녕군 창녕읍 시장2길 37 (술정리)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시 설 : 1기
건축시기 : 통일신라시대
지정일자 : 1962.12.20.
소 유 : 국유
관 리 : 창녕군

내 용

[국가유산청]

탑이 세워져 있는 창녕군 지역은 삼국시대부터 신라의 영역에 속해 있던 곳이며, 진흥왕 때부터 신라의 정치·군사상의 요지가 되었다. 탑은 2단의 기단(基壇)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로, 통일신라 석탑의 일반적인 모습이다.

기단에는 위·아래층 모두 각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이 새겨져 있고, 탑신 역시 몸돌의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을 한 조각이 있다. 지붕돌은 수평을 이루던 처마가 네 귀퉁이에서 살짝 치켜 올라가 간결한 모습이며, 밑면에는 5단의 받침을 두었다. 1965년 탑을 해체, 복원할 당시 3층 몸돌에서 뚜껑달린 청동잔형사리용기 등의 유물들이 발견되었고, 바닥돌 주위에 돌림돌을 놓았던 구조도 밝혀졌다.

8세기 중엽인 통일신라시대에 세워진 탑으로, 위로 올라가면서 적당한 비율로 줄어드는 몸돌로 인해 충분한 안정감과 아름다움이 느껴진다. 세부적인 수법도 정교하여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국보)과 비길만한 기품이 있으며, 삼국시대부터 신라 영역에 속해있던 창녕의 지역적인 특성으로 볼 때, 경주 중심의 탑 건립 경향이 지방으로 확산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어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역사적 변천 ]

석탑이 위치한 사찰에 대하여 확실한 문헌기록은 없으나 인근 창녕읍 교동에 위치한 창녕 인양사 조성비(보물, 1963년 지정)에 기록된 인양사(仁陽寺) 혹은 대곡사(大谷寺)로 추정되는 곳이다. 이 절터는 2004년 탑 일대에 대한 시굴조사와 2008년 10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전면조사가 이루어졌다. 2008년 조사에서는 ‘송림사(松林寺)’명 기와가 출토되어 해당 사찰의 원래 이름을 추정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가람배치에 있어서 탑과 금당의 배치가 남북 축선보다는 동서축선이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석탑은 1965년 문화재관리국(현, 문화재청)에서 전면 해체수리를 진행하였는데, 이때 3층 탑신석 상면 방형사리공에서 동제잔형사리기와 황색유리사리병, 향편 및 소형 구슬 등이 발견되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다.

[ 내 용 ]

석탑은 이중기단에 삼층탑신을 지닌 전형적인 신라석탑 양식이다. 현재 탑 지대석 외곽으로 1열로 구획한 석렬이 남아 있는데, 한쪽 모서리에 탑구로 보이는 석재가 남아 있다. 따라서 원래 외곽에 판석으로 탑구를 형성했을 것으로 보인다. 기단부는 상하층 2중으로 되어 있다. 하층기단은 지대석과 면석을 한 돌로 하여 5매의 판석으로 결구하였다. 하대갑석도 5매로 구성되었는데 갑석 상면은 끝 부분 쪽으로 약한 경사가 있으며 갑석 중앙에는 호각형(弧角形)의 2단 괴임으로 상대면석을 받치고 있다. 상층기단 면석은 1면 1매의 판석으로 엇물림하여 결구되었다. 상대갑석은 4매로 하단에는 1단의 부연을 두고 상면 중앙에는 2단의 각형 괴임을 두어 초층탑신을 받치고 있다.

탑신부는 탑신석과 옥개석이 각각 1매로 구성되었는데, 탑신부는 모두 모서리에 우주를 새겼고 표면의 문비 등의 장식은 생략되었다. 옥개석은 3층이 모두 처마 아래로 5단의 층급받침을 가지고 있으며 상면에 2단의 각형 괴임을 두어 위층 탑신을 받치고 있다. 옥개석의 낙수면은 모서리에서 경쾌한 반전을 보이고 있으며 각 옥개석 모서리에는 양쪽 전각부에 1개씩의 풍경공이 뚫려 있다. 상륜부는 모두 결실되었고 3층 옥개석 중앙에 원형의 찰주공이 남아 있다.

[ 특 징 ]

석탑을 구성하는 부재는 기단부에 18매, 탑신부 6매로, 상하층 기단 탱주숫자 2:2의 석탑과 거의 유사한 구성을 보이고 있다. 8세기 경주지역 석탑들이 하층기단 면석을 구성할 때 ‘ㄱ’자형 귀틀석을 쓰는 것과는 달리 판석만으로 결구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또한 기단부 외곽에 나타나는 탑구의 흔적이라든가 탑의 외관상 보이는 비례는 전성기 신라석탑의 모습을 보여주는데 부족함이 없다.

[ 평 가 ]

창녕 지역은 신라 진흥왕대에 정치 · 군사적으로 중요한 요충지로 여겨져 일찍부터 신라 왕경의 문화가 전파된 곳이다. 특히 8세기에 이르러 왕실의 적극적 후원으로 많은 사찰들이 건립되는데, 술정리 동삼층석탑이 위치한 사찰 역시 그 가운데 하나로 보인다. 이 석탑은 결구 수법과 각 부분의 조각 수법이 매우 치밀하고 정교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체감률과 적당한 비율로 8세기 전성기 석탑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왕경중심의 석탑문화가 8세기 무렵 경주를 벗어나 왕경 외곽지역으로 전파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귀중한 석탑으로 평가되어 신라탑파사 연구에 있어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 리 뷰 # (주관적인 리뷰이므로 참고만 바랍니다.!)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이다. 전형적인 전성기 통일신라의 석탑이고 1965년에 탑을 해체 및 수리 하는 과정에서 유물이 나왔고, 창녕까지 통일신라가 영향권을 두었음을 알 수 있어 그 중요성으로 국보로 지정된 것 같다.

신라(경주) - 창녕 거리가 자동차로 130km인데 지도에서 보면 험준한 산세에 둘러싸여있다.

창녕 술정리에 삼측석탑이 또 있어서 이름이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으로 되었다고 한다.

*창녕 술정리 서 삼측석탑도 보물급이다. 모양은 비슷하지만 크기가 좀 작다.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서탑(국보) - 창녕 술정리 서 삼층석탑 거리는 직선거리로 400 ~ 500m 정도되고,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서탑(국보) - 창녕 술정리 서 삼층석탑 사이에서 송림사(松林寺) 절터라고 볼만한 유적이나 유물이 출토되지 않아서 별 개의 탑이라고 생각한다.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 창녕군, 경상남도
무거1000
4/5

넓은 공원 안에 국보34호 삼층석탑이 우뚝 서있다. 주변 동네와 너무 잘 어울려서 그냥 오래된 석탑인줄.... 감은사지 삼층석탑과 같은 통일신라시대에 만든 탑이라 그런지 경주에 있는 석탑 스타일과 유사해 보인다. 주차장과 화장실이 잘 갖춰져있다. 탑 뒤로 보이는 목욕탕 굴뚝이 아쉽다.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 창녕군, 경상남도
이성철 (.
5/5

통일신라시대 건립된 역사적인 곳임. 사찰 있던곳이나 지금은 터만 남음. 삼층삭탑 국보임.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 창녕군, 경상남도
GJ가별 (. N.
3/5

오~~~ 이게 국보네… 좀더 주변 정리가 잘 되었으면… 도시정심에서 이렇게 오래된 탑을 볼수 있는곳이 얼마나 될까..청명한 하늘과 너무 잘 어울린다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 창녕군, 경상남도
Deyon G. (.
4/5

통일신라 고상한 절제를 맛볼 수 있는 탑. 깔끔하고 정교한 멋 그리고 단아함을 선사한다.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 창녕군, 경상남도
Yukyong C.
5/5

근사한 탑 하나로 동네 전체가 폼 납니다.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 창녕군, 경상남도
Jinsang Y.
4/5

화왕산 등산 생각보다 빡셈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 창녕군, 경상남도
dami J.
5/5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昌寧邑) 술정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의 석탑. 화강석으로 만든 삼층 석탑으로, 높이 5.75미터이다. 국보 제34호이다.

Go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