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 대원사 - 산청군, 경상남도

주소: 대한민국 경상남도 산청군 삼장면 대원사길 455 조계종 대원사.
전화번호: 559728068.
웹사이트: daewonsa.net
전문 분야: 불교사찰, 관광 명소.
기타 관심사항: 화장실.
리뷰: 이 회사는 Google My Business에서 659개의 리뷰를 가지고 있습니다.
평균 의견: 4.4/5.

📌 의 위치 조계종 대원사

조계종 대원사

조계종 대원사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산청군 삼장면 대원사길 455에 위치한 불교 사찰입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12교구 본사 해인사의 말사로 알려진 이 사찰은 한국의 대표적인 비구니 참선 도량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웅전·원통보전·응향각·산왕각·봉익루 등이 있는 이 사찰은 보물 제1112호인 다층석탑이 유명합니다.

앞에 계곡소리가 시원하여 이사찰을 방문하는 사람들의 기분을 편안하게 만듭니다.

다만, 공사 중이라면 어수선한 상황이 될 수 있습니다. 공사가 끝나면 가는 걸 추천합니다.

절까지 올라가는 길은 주차장에서 바로앞이고 길이 일단 조금 좁습니다

절은 그다지 크진 않고 조용하고 주변에 산을 탈수있고 계곡도있고 깨끗합니다.

대원사 자체의 사찰도 좋지만 그곳까지 가는 길이 더욱 좋은 곳입니다. 사시사철 다른 경치와 한결 같은 계곡 물소리. 편안해지는 기분입니다.

가끔씩 작고 귀여운 다람쥐도 볼 수 있는 곳입니다.

무장애둘레길은 잘 되어있습니다. 가볍게 가족들과 도보로 가기 좋은 곳입니다.

주차장에서 도보로 대원사까지 왕복 2시간정도 소요됩니다.

주문 및 방문 정보

주문 및 방문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주소: 대한민국 경상남도 산청군 삼장면 대원사길 455 조계종 대원사.

전화번호: 559728068.

网站: daewonsa.net.

기타 관심사항

기타 관심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화장실.

리뷰

리뷰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 회사는 Google My Business에서 659개의 리뷰를 가지고 있습니다.

평균 의견: 4.4/5.

👍 의 리뷰 조계종 대원사

조계종 대원사 - 산청군, 경상남도
문희승
5/5

불교 사찰.
대한불교조계종 제12교구 본사 해인사의 말사.
한국의 대표적인 비구니 참선 도량으로 꼽힌다.
대웅전·원통보전·응향각·산왕각·봉익루 등.
보물 제1112호인 다층석탑이 유명.

조계종 대원사 - 산청군, 경상남도
아티
4/5

앞에 계곡소리가 시원합니다
다만 공사중이라 어수선합니다
공사가 끝나면 가는걸 추천

조계종 대원사 - 산청군, 경상남도
프로가출러
4/5

절까지 올라가는길은
주차장에서 바로앞이고
길이 일단 조금 좁습니다..
절은 그다지 크진 않고 조용하고
주변에 산을 탈수있고 계곡도있고
깨끗합니다.

조계종 대원사 - 산청군, 경상남도
퍼런비
5/5

대원사 자체의 사찰도 좋지만 그곳까지 가는 길이 더욱 좋은 곳입니다. 사시사철 다른 경치와 한결 같은 계곡 물소리. 편안해지는 기분입니다. 가끔씩 작고 귀여운 다람쥐도 볼수 있는.

조계종 대원사 - 산청군, 경상남도
ingeom C.
5/5

무장애둘레길. 잘 되어있습니다. 가볍게 가족들과 도보로 가기좋은곳입니다. 주차장에서. 도보로. 대원사까지 왕복2시간정도 소요됩니다

조계종 대원사 - 산청군, 경상남도
김순녀
4/5

2024년 4월 2일 방문
경상남도 산청군 심장면 유평리 1번지
대한민국 보물 제 1112호 대원사 다층석탑 소재.

대원사
숙종 11년(1685) 에 창건하였고, 대원암이라 했으며, 고종27년(1890) 중건하였고, 대원사라 하였다.
1913년 12월 화재로 소실되었다가 1917년 시주를 얻어 중건하였으며, 1948년 여순반란 사건 때 8년간 폐허기간을 거쳐 1955년 중창했고, 비구니선원을 개설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두산백과,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에서
참조한 부분 있음)
건물로는 대웅전, 원통보전, 응향각, 산왕각, 봉익루가 있다. 원통보전 건물은 지붕이 특이하다.
산신각 건물로 올라가서 내려다 보면 다른 건물과 확연히 다름을 볼 수 있다. 절 입구 왼편으로 부도와 방광비가 있고, 이 대원사길 도로를 따라 계곡으로 이어진 유평마을이 형성돼 있다. 사찰 입구 안내판에 시설 전화번호가 기재 돼 있다. 대원사는 일주문에는 방장산 대원사란 현판이 걸려있다. 중국의 사기. 열자에서 비롯된 이야기로 우리나라에서도 중국의 삼신산을 본떠 금강산, 지리산, 한라산을
봉래산, 방장산, 영주산이라 부른다. 에고....역사를 알아가는건 재미있고 신기하지만 너무 복잡해진다.

지리산은 화엄사에서 시작해 대원사에서 끝나는 종주길이 있다.

조계종 대원사 - 산청군, 경상남도
TaRa P.
5/5

지리산 자락의 유서깊은 비구니 스님들의 수련도량입니다.
가만히 앉아서 바람소리 들으니 아주 좋아요.

조계종 대원사 - 산청군, 경상남도
허수
4/5

대한불교조계종 제12교구 본사인 해
인사(海印寺)의 말사이며 지리산(해
발1,915.4m)지락에 소담스럽게 앉
은, 비구니 3대(석남사(石南寺)·견성
암(見性庵)대표 참선도량으로 손꼽
히기도하다.삼국시대(548년)연기(緣起)가 창건하여 평원사(平原寺)라 하
였다고 전해지며 그 후, 천 년 동안 폐
사된 채로 방치되었다가 조선(1685
년)시대 운권(雲捲)이 옛터에 절을 짓
고 대원암(大源庵)이라하였으며,18
90년 구봉(九峰)이 낡은 건물을 중건
,증축하면서 대원사로 개칭 하였다고,
이후에도 1913년 큰 화재로 소실 되
었고 1917년 중건 하였다고 한다. 특
히 1948년 여순반란사건 때 공비들
의 약탈과 방화로 다층석탑을 제외한 모든 건물들이 소실된 뒤 8년 동안 폐
허가 되었으나, 1955년 승려 법일(法一)이 다시 중창한 뒤 비구니선원(比丘尼禪院)을 개설하여 현재에 이르
고 있으며 아직까지도 복원에 심혈을
기울이는 진행형 사찰이라 한다. 화재
에서 기사회생한 다층석탑은 조각은 소박하지만 철분이 많이 함유한 돌로
만들어 붉은 빛이 예사롭지 않으며 신
비롭기까지 하다.다층석탑은 보물제1
112호로 지정 되어 있다. 비구니 절 집은 대체로 아기자기한 꾸밈의 손길
이 특징처럼 느껴짐이 따스하고 포근
한 멋이 있는 것 같다. 지리산에서 뻗
어내린 숲과 계곡은 여름 피서지로 각
광을 받고 있는 유명 관광 장소이며 대
원사를 지나 정상부로 오르면 아직도
몇 몇 산골마을이 있으며 주수입원은
관광객이나 등산객들 숙박및 먹을거
리 제공하는 식당들로 형성되어 있다.
대원사 코앞까지 자가로 갈수 있지만
주차공간이 소규모라 공간이 넓은 아
랫쪽 주차장을 이용하여 도보로 오르
는 것도 방법 중 하나일 수 있겠다. 주
차,입장료는 없다.계곡이 피서지라 곳
에 화장실은 있지만은 기타 편의 시설
은 없다. 정상부 산마을까지도 차량으
로 진입할 수 있으니 계곡과 대원사,
마을까지 연계한 여행도 추천해 본다.

Go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