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 서산시, 충청남도

주소: 대한민국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마애삼존불길 65-13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전화번호: 416602538.
웹사이트: seosan.go.kr
전문 분야: 문화 유산 보존.
기타 관심사항: 휠체어 이용 가능 출입구.
리뷰: 이 회사는 Google My Business에서 1624개의 리뷰를 가지고 있습니다.
평균 의견: 4.5/5.

📌 의 위치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대한민국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마애삼존불길 65-13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 운영 시간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 월요일: 오전 9:00~오후 6:00
  • 화요일: 오전 9:00~오후 6:00
  • 수요일: 오전 9:00~오후 6:00
  • 목요일: 오전 9:00~오후 6:00
  • 금요일: 오전 9:00~오후 6:00
  • 토요일: 오전 9:00~오후 6:00
  • 일요일: 오전 9:00~오후 6:00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은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에 있는 보물상물로, 백제의 미소가 새겨진 마애여래삼존상으로 유명합니다.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은 address: 대한민국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마애삼존불길 65-13 서산 용현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화번호: 416-602-538로 연락할 수 있습니다.

이 보물상물은 website: www.seosan.go.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문 분야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은 문화 유산 보존 전문 분야로 알려져います.

기타 관심사항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은 휠체어 이용 가능이며, 입구에서 가깝습니다.

리뷰

Google My Business에서 1624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평균 의견은 4.5/5입니다.

이 회사는 백제의 미소가 새겨진 마애여래삼존상으로 유명합니다. 주차장에서 200~300미터 거리라서 올라가기도 쉽습니다. 온화하고 생긋 웃는 천오백년 전 백제인의 미소 만나보길 추천드립니다.

입구에서 가깝운데 좀 가파릅니다. 해설사분이 스탬프 안내해주셔서 서산8경 구경하라고 알려주시네요~ 서산마애삼존불상의 미소가 너무 인자하시고 멋있습니다. 관람객분이 저희아들 미소랑 같다고 하셔서 더욱 좋았습니다.

👍 의 리뷰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 서산시, 충청남도
Kook-Hyun K.
4/5

백제의 미소...
아주 아름답습니다.
주차장에서 200~300미터 거리라서 올라가기도 쉽습니다.
온화하고 생긋 웃는 천오백년 전 백제인의 미소를 만나보길 추천드립니다.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 서산시, 충청남도
김유리
5/5

입구에서 가깝운데 좀 가파릅니다. 해설사분이 스탬프 안내해주셔서 서산8경 구경하라고 알려주시네요~ 서산마애삼존불상의 미소가 너무 인자하시고 멋있습니다. 관람객분이 저희아들 미소랑 같다고 하셔서 더욱 좋았습니다.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 서산시, 충청남도
Joey J.
4/5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국보 084)

명 칭 :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瑞山 龍賢里 磨崖如來三尊像)
국보번호 : 064번(국보번호 폐지전)
위 치 : 충남 서산시 운산면 마애삼존불로 65-13
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시 설 : 3구
시 대 : 백제시대 후기
지정일자 : 1962.12.20.
소 유 : 국유
관 리 : 서산시

내 용​

[ 국가유산청 ]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가야산 계곡을 따라 들어가면 층암절벽에 거대한 여래입상을 중심으로 오른쪽에는 보살입상, 왼쪽에는 반가사유상이 조각되어 있다. 흔히 ‘백제의 미소’로 널리 알려진 이 마애불은 암벽을 조금 파고 들어가 불상을 조각하여 형성되었다.

연꽃잎을 새긴 대좌(臺座) 위에 서 있는 여래입상은 살이 많이 오른 얼굴에 반원형의 눈썹, 살구씨 모양의 눈, 얕고 넓은 코, 미소를 띤 입 등을 표현하였는데, 전체 얼굴 윤곽이 둥글고 풍만하여 백제 불상 특유의 자비로운 인상을 보여준다. 옷은 두꺼워 몸의 윤곽이 드러나지 않으며, 앞면에 U자형 주름이 반복되어 있다. 둥근 머리광배 중심에는 연꽃을 새기고, 그 둘레에는 불꽃무늬를 새겼다.

머리에 관(冠)을 쓰고 있는 오른쪽의 보살입상은 얼굴에 본존과 같이 살이 올라 있는데, 눈과 입을 통하여 만면에 미소를 띠고 있다. 천의를 걸치지 않은 상체는 목걸이만 장식하고 있고, 하체의 치마는 발등까지 길게 늘어져 있다.

왼쪽의 반가상 역시 만면에 미소를 띤 둥글고 살찐 얼굴이다. 두 팔은 크게 손상을 입었으나 왼쪽 다리 위에 오른쪽 다리를 올리고, 왼손으로 발목을 잡고 있는 모습, 오른쪽 손가락으로 턱을 받치고 있는 모습에서 세련된 조각 솜씨를 볼 수 있다.

반가상이 조각된 이례적인 이 삼존상은『법화경』에 나오는 석가와 미륵, 제화갈라보살을 표현한 것으로 추정된다. 본존불의 묵직하면서 당당한 체구와 둥근 맛이 감도는 윤곽선, 보살상의 세련된 조형 감각, 그리고 공통적으로 나타나 있는 쾌활한 인상 등에서 6세기 말이나 7세기 초에 만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 곳은 백제 때 중국으로 통하는 교통로의 중심지인 태안반도에서 부여로 가는 길목에 해당하므로, 이 마애여래삼존상은 당시의 활발했던 중국과의 문화교류 분위기를 엿볼 수 있게 하는 작품이라 하겠다.

# 리 뷰 # (주관적인 리뷰이므로 참고만 바랍니다.!)

국보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은 충남 서산시 운산면 마애삼존불로에 위치하고 있다. 주차하는 장소에서 약간 걸어 올라간다. 건강한 성인 남성이 뛰어올라가면 5분 내 도착할 수 있는 거리이다.

올라가서 관람하면 층암절벽에 거대한 여래입상을 중심으로 오른쪽에는 보살입상, 왼쪽에는 반가사유상이 조각되어 있다. 조성 시기가 백제시대 후기임을 감안하면 1,500년 이상이 세월의 흔적은 무시한채 부처님이 미소짓고 있다.

1959년 4월 국립부여박물관 관장 홍사준은 인근 마을 주민들에게 혹시 절에 관련하여 전해지는 이야기가 있는지, 산에서 부처님이 새겨진 바위나 석탑 따위를 본 적이 있는지 물어보고 다녔는데. 한 주민에게서 인(印)바위에 가면 웃는 산신령 조각이 있다는 말을 듣고 확인해 학회에 보고해서 이 국보급 유적이 발견되었다.

반가상이 조각된 이례적인 이 삼존상은『법화경』에 나오는 석가와 미륵, 제화갈라보살을 표현한 것으로 추정된다. 본존불의 묵직하면서 당당한 체구와 둥근 맛이 감도는 윤곽선, 보살상의 세련된 조형 감각, 그리고 공통적으로 나타나 있는 쾌활한 인상 등에서 6세기 말이나 7세기 초에 만든 것으로 보이며,

본 유물의 위치는 백제 때 중국으로 통하는 교통로의 중심지인 태안반도에서 부여로 가는 길목에 해당하므로, 이 마애여래삼존상은 당시의 활발했던 중국과의 문화교류 분위기를 볼 수 있다고 한다.

본존불이 어떤 부처임에 따라 약간의 성격이 달라지기 마련인데, 백제불교라는 특수성을 지니고 있어 이를 감안하고 판단하시길 바란다.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 서산시, 충청남도
김순녀
5/5

2024년 12월 30일 방문.
국보 제 84호(1962. 12. 20 지정)
불교 유물, 백제 말기 작품
서산 용현리 계곡에 있는 마애여래 삼존불상.

세상에 이렇게 환하게 웃으며 사람들을 맞이하는 불상은 없다. 바라보고 있으며 실로 웃음이 나고 미소짓게 만들어 행복해진다. 불상에 대한 답사기를 쓴 유홍준님의 애피소드를 떠 올리면 박장대소하게 된다. 그 이야기를 하면서 옆지기랑 한참을 즐기다 내려왔다. 바위는 균열이 생겨서 자동센서도 설치하고 불상은 파손된 부분도 있지만 비교적 잘 보존됐다. 미소를 감지할 수 있다는건 표정이 읽힌다는 거니까.
중앙에 여래(부처의 10가지 이름 중 하나)입상을 기준으로, 우측엔 보살입상, 좌측엔 반가사유상이 자리를 했다. 이런 유물이 있어 그 오래전(약 1500년 전) 사람들과 조우를 할 수 있다. 선조들 손길을 지금에 내가 감상할 수 있는건 유물 덕분이다. 앞으로도 잘 견뎌서 후대의 사람들에게 미소를 보여주길 부탁 한다.

주차는 계곡 건너기 전에 무료주차장 있고, 이 주차장에서 오던 방향으로 500m 직진하면 보원사지가 있다.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 서산시, 충청남도
Joon B.
5/5

백제의 미소로 대표적인 마애 삼존불 입니다. 국보이고 주차장에서 300미터 계단을 올라가면 볼수 있으며 바로 앞까지 가서 볼 수 있습니다. 무료 관람입니다. 자세히보시면 우측은 입상, 좌측은 앉아있는 모습이라 특이합니다.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 서산시, 충청남도
Catarina K.
5/5

백제의 미소를
닮은 마애삼존불상이 있다고 해서
찾아나선 길.
용현계곡 입구에있어
누구나 손쉽게 갈수 있는 곳
그러나 숲이 우거지고..
올라가는 길이 가파르지지만
정비가 계단으로 잘되어있어
좋습니다.

입장료 없구요.
주차시설 좋습니다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 서산시, 충청남도
Sunhwa R.
5/5

입장료 무료, 주차는 식당 '용현집'에 하고 올라갔어요.
계단으로 올라가는데 힘들지 않았어요.
꼭 해설사 설명 들으시길 추천합니다.
정말 맛깔스럽고 재미있게 풀어주세요.
되도록이면 오전 관람을 추천해요. 그래야 백제의 미소를 제대로 볼 수 있어요~ 저희는 오전 11시 넘어 갔는데.. 그 시간도 괜찮았어요.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 서산시, 충청남도
SungKun L.
5/5

마을길을 따라 오르는 산길,
마지막 주차장에 주차하다.

걸어서 오르라는 급경사 주의판,
다리가 아픈 분은 계단길을
건강한 분은 급경사로 오르라.

급경사를 헐떡거리며 오르니 마애여래삼존이 반갑게 맞는다.
신비한 백제의 미소로 반긴다.

Go 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