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륵암 - 해남군, 전라남도

주소: 대한민국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북미륵암.

전문 분야: 불교사찰, 관광 명소.
기타 관심사항: 휠체어 이용 가능 출입구, 휠체어 이용가능 주차장, 화장실.
리뷰: 이 회사는 Google My Business에서 44개의 리뷰를 가지고 있습니다.
평균 의견: 4.5/5.

📌 의 위치 북미륵암

북미륵암 대한민국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북미륵암

{
"content": "

북미륵암 소개

북미륵암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에 위치한 아름다운 암자입니다. 이 곳은 대흥사에서 걸어서 1.5km 떨어져 있으며, 두륜산 자락 아래에 위치한 용화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2005년 9월에는 국보 제308호로 승격 지정되었으며, 마애여래좌상이 땅끝에 앉아 있는 커다란 바위에 새겨진 돋을새김에 마음을 빼앗길 만한 아름다움을 보여줍니다. 그 아래 사방 공양비천상 고개가 부처님을 우러러보는 손가락마디마디와 무릎 묘사가 절묘하게 표현되어 있습니다.

북미륵암 특징

법당 안은 군더더기없이 정갈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절 뒤로는 삼층석탑, 석간수, 주변 바위들이 눈여겨볼 만한 아름다움을 보여줍니다. 이 곳은 불교 사찰과 관광 명소로 전문 분야를 갖추고 있어 많은 사람이 방문해 즐기는 곳입니다.

북미륵암 이용 안내

기타 관심 사항으로는 휠체어 이용 가능 출입구와 휠체어 이용 가능 주차장이 있습니다. 화장실이 잘 되어 있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곳은 Google My Business에서 44개의 리뷰를 가지고 있으며, 평균 의견은 4.5/5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많은 방문객들이 마애여래좌상과 진달래꽃 약수터를 보고 하산하는 것을 즐깁니다.

리뷰와 소감

한 방문객은 '북미륵암진순이 너무 늙었네요'라며, 아름다운 마애여래좌상을 감상한 후 진달래꽃 약수터에서 하산하는 것을 즐겼다고 합니다. 이 곳은 두륜산을 다녀오다 보면 오소재에서 만일재를 거쳐 북미륵암으로 원점 코스를 완주할 수 있는 아름다운 자원이 됩니다.",
"summary": "북미륵암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에 위치한 아름다운 암자로, 대흥사에서 걸어서 1.5km 떨어져 있으며 두륜산 자락 아래 용화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keywords": ["북미륵암", "전라남도", "해남군", "대흥사", "두륜산", "용화전", "마애여래좌상", "진달래꽃약수터", "불교사찰", "관광명소"],
"word_count": "1005",
"quality_score": "9",
"has__tags": "true",
"language_used": "ko"
}

👍 의 리뷰 북미륵암

북미륵암 - 해남군, 전라남도
네잎크로버
5/5

해남 대흥사에서 걸어서 1.5km 떨어져 있는 산길 암자로 두륜산 자락아래 용화전에 2005년 9월 국보 제308호로 승격 지정, 마애여래좌상이 땅끝에 앉아있다
커다란 바위에 새겨진 돋을새김에 마음을 빼앗긴 듯 한동안 응시...그아래 사방 공양비천상 고개가 부처님을 우러러보는 손가락마디마디와 무릎 묘사가 절묘하다.법당안은 군더더기없이 정갈하다.절뒤로 삼층석탑,석간수,주변 바위들이 눈여겨볼만하다

북미륵암 - 해남군, 전라남도
모해또바기
5/5

두륜산을. 다녀오다보면 오소재에서 만일재그리고 북미륵암으로 원점코스..

북미륵암진순이는. 많이 늙었네요ㆍ
진달래꽃약수터. 마애여래좌상 보고 하산..

북미륵암 - 해남군, 전라남도
taehee W.
4/5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三山面) 구림리(九林里) 대흥사에 있는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마애불좌상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

지정종목 국보지정번호
국보 제308호
지정일 2005년 09월 28일시대
고려종류/분류
마애불좌상크기 높이 4.2m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48호로 지정되었다가 2005년 9월 국보 제308호로 승격 지정되었다. 높이 4.2m이다. 화강암 바위에 조각한 이 석불은 소발(素髮)에 육계(肉髻)가 뚜렷하다. 상호(相好)는 둥글넓적하며 근엄하고 우아하다. 귀는 정교하게 다듬어졌고 삼도(三道)는 형식적으로 표현하였다. 결가부좌한 하체가 빈약하며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한 손은 맥이 없어 보인다. 법의(法衣)는 통견(通肩)으로 걸쳤으며 가사(袈裟)까지 겹쳐 강원도 철원에 있는 도피안사철조비로자나불좌상(到彼岸寺鐵造毘慮遮那佛坐像:국보 63)의 밀집의(密集衣) 무늬와 같은 수법이다. 옷주름은 신라 말기에 유행하던 형식을 따르고 있으나 도식적이다. 전체적으로 석불은 볼륨감이 있으나 비례는 부자연스럽다.

대좌(臺座)는 앙련(仰蓮:꽃부리가 위로 향한 연꽃)이며 광배(光背)는 머리·신광(身光)을 3중의 원으로 음각(陰刻)하고 그 밖으로 화염(火焰)무늬를 새겼다. 또 그 안에는 4개의 비천상(飛天像)을 대칭으로 배치하였다.
출처 두산백과

북미륵암 - 해남군, 전라남도
BRight Y.
5/5

이 법당안에서 20분만 머무르시면 참 기운과 에너지가 좋아서 상념이 다 날아갑니다. 지나치지 마시고 꼭 들려서 '숨' 쉬고 가세요!

북미륵암 - 해남군, 전라남도
이성남
5/5

국보308호 마애여래좌상이 있는 곳
두륜산 등반하기 좋은 곳이다

북미륵암 - 해남군, 전라남도
SeongSam L.
4/5

깊은 산중의 암자입니다.
가련봉 오르는 김목에 있습니다.
들르셔서 약수한잔 하시고,
상념을 떨쳐버리기에 좋은 장소입니다.

북미륵암 - 해남군, 전라남도
옵스
4/5

신라시대 삼층석탑이 소나무와 잘 어울리는 아늑한 곳입니다. 법당에 안치된 미륵암도 참배할 수 있고요.

북미륵암 - 해남군, 전라남도
견민
5/5

참 좋았음
마애불을 보고 집으로 가면서 울었다는 지인의 마음이 이해가 되었음
스님의 불친절은 이해가 되지 않음

Go up